본문 바로가기
지식_건강

2024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금액,신청방법,보급현황)

by 세상2 2024. 7. 25.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전기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2024년에도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보조금 정책을 통해 전기차 보급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 제약과 정책 변화로 인해 보조금 구조와 금액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 전국 주요 지역의 전기차 보조금 현황, 신청 방법, 그리고 보급 현황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자세히

노후 경유 조기폐차 지원금 총정리

자동차보험 싸게 견적받는법

기아 레이 EV 보조금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1. 2024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환경부는 2024년 2월 전기차 보조금 지급 체계를 개편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충전 속도를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설정
  • 안전성과 환경 친화성이 높은 차량에 우선적으로 보조금 지급
  • 제조사의 사후관리 책임 강화 및 충전 인프라 개선 요구
  • 취약계층, 청년, 소상공인 등에 대한 구매 지원 확대
  • NCM(니켈, 코발트, 망간) 배터리 탑재 차량에 대한 지원 강화

 

TIP: 이러한 정책 변화는 전기차의 실용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국내 배터리 및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주행거리와 충전 속도가 우수한 모델을 선택하면 더 높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2024년 전국 주요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현황

지역별 보조금 현황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승용 전기차 기준 최대 보조금 금액입니다.

지역 국비 (만원) 지방비 (만원) 총액 (만원)
서울특별시 650 150 800
부산광역시 650 250 900
대구광역시 650 300 950
인천광역시 650 300 950
광주광역시 650 370 1,020
대전광역시 650 300 950
울산광역시 650 325 975
세종특별자치시 650 250 900
경기도 650 200~400 850~1,050
강원특별자치도 650 251~288 901~938
충청북도 650 650 1,300
충청남도 650 700 1,350
전라북도 650 700 1,350
전라남도 650 600~850 1,250~1,500
경상북도 650 600~1,100 1,250~1,750
경상남도 650 566~1,140 1,216~1,790
제주특별자치도 650 400 1,050

 

내 생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보조금 금액 차이가 큽니다. 특히 경상남도 거창군의 경우 최대 1,790만원까지 지원하여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반면 서울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데, 이는 이미 높은 전기차 보급률과 예산 제약 때문으로 보입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 중이라면, 거주 지역의 보조금 정책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전기차 보조금 신청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3. 주요 차종별 국고보조금 지원 금액

차종에 따른 세부적인 국고보조금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사 차종 국고보조금 (만원)
현대 아이오닉6 롱레인지 2WD 18인치 706
현대 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19인치 690
기아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 684
기아 EV9 2WD 19인치 301
테슬라 Model Y RWD 211
BMW i4 eDrive40 212
폭스바겐 ID.4 Pro 492

TIP: 국산 중대형 전기차의 보조금이 높은 편입니다. 수입차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보조금을 받지만, 폭스바겐 ID.4와 같은 일부 모델은 비교적 높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량 선택 시 보조금뿐만 아니라 차량의 성능, 품질, 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4.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보조금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차 보급사업 공고 확인
  2. 구매 희망 차종의 제조/판매사와 구매계약 체결
  3. 제조/판매사를 통해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에 구매지원 신청서 제출
  4. 지자체의 대상자 선정 및 통보 (보통 출고·등록순)
  5. 차량 출고 및 등록 (대상자 선정 후 2개월 이내)
  6. 보조금 지급 신청 (출고, 등록 후 10일 이내)
  7. 보조금 지급 (신청 후 14일 이내)

보조금 신청방법 및 신청서류

주의사항

  • 지역별로 신청 기간과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 지자체의 공고문을 확인해야 합니다.
  •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면 지원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의무운행기간(대부분 2년, 일부 지역 8년)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보조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5. 지역별 전기차 보급 현황 (2024년 7월 기준)

주요 지역의 전기차 보급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지역 보급 목표 (대) 실제 보급 (대) 달성률 (%)
서울특별시 7,380 4,767 64.6
부산광역시 4,940 2,116 42.8
대구광역시 3,679 1,895 51.5
인천광역시 5,520 2,363 42.8
광주광역시 1,772 914 51.6
대전광역시 2,605 1,125 43.2
울산광역시 1,803 678 37.6
세종특별자치시 100 81 81.0
경기도 수원시 1,993 1,194 59.9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400 235 58.8

TIP: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직 보급 목표의 절반 정도만 달성한 상태입니다. 이는 하반기에 추가 물량 배정이나 보조금 정책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달성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하반기에 더 적극적인 보급 정책을 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지역 거주자라면 하반기 정책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급 현황 자세히보기

6. 전기차 보조금 관련 주의사항

 

  • 보조금은 차종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의무운행기간 동안 차량을 소유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보조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법인의 경우 대부분 1대로 제한되지만, 일부 예외(택시 법인 등)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보조금 지급 이후에도 의무사항(예: 충전기 의무 설치)을 준수해야 합니다.

 

TIP: 전기차 구매 시 단순히 보조금 금액만 보지 말고, 차량의 실제 성능, 주행거리, 충전 인프라, 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의무운행기간과 관련 규정을 잘 숙지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7. 지역별 특이사항

일부 지역의 특이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 경상남도 거창군: 전국 최고 수준인 최대 1,790만원의 보조금 지급
  • 제주특별자치도: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보조금(1,050만원) 지급
  •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1,350만원 통일된 보조금 지급
  • 전라남도: 보성, 영암, 무안, 함평군 등에서 1,500만원의 높은 보조금 지급
  • 경기도: 시별로 차이가 있으며, 여주시, 이천시, 안성시, 양평군, 가평군, 광명시 등이 1,050만원으로 높은 편

 

내 생각: 지방으로 갈수록 보조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 대비 전기차 보급률을 높이려는 정책으로 보입니다. 또한, 같은 도 내에서도 시군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인 거주지의 보조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전기차 보조금 신청 시 유의사항

 

  1. 신청 자격 확인: 대부분의 지역에서 해당 지역 거주 기간(보통 3개월 이상)을 요구합니다.
  2. 서류 준비: 주민등록등본, 자동차 구매계약서, 신분증 사본 등이 필요합니다.
  3. 신청 시기: 보조금은 선착순으로 소진되므로, 공고 직후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4. 출고 일정 확인: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이내 출고를 요구합니다.
  5. 의무 운행 기간 숙지: 일반적으로 2년이지만, 일부 지역에서 8년으로 연장되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TIP: 보조금 신청 전 해당 지역의 공고문을 꼼꼼히 읽어보세요. 지역별로 요구하는 서류나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판매 대리점에서도 보조금 신청을 도와주는 경우가 많으니, 구매 상담 시 보조금 신청 절차에 대해서도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금 신청방법 및 신청서류

9. 향후 전망

전기차 시장이 성숙해감에 따라 보조금 정책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보조금 축소: 장기적으로 보조금은 점진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성능 중심 지원: 주행거리, 충전 속도 등 실질적인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것입니다.
  3. 충전 인프라 확대: 보조금 정책과 함께 충전 인프라 확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4. 특정 계층 지원 강화: 취약계층, 청년, 소상공인 등에 대한 추가 지원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내 생각: 전기차 기술이 발전하고 시장이 성숙해감에 따라, 향후에는 단순한 구매 보조금보다는 충전 인프라 확충이나 특정 계층 지원 등으로 정책의 초점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현재의 높은 보조금 혜택을 활용하되,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량의 실제 가치와 사용 편의성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전기차 보조금 지역전기차 보조금 조회
전기차 보조금 지역

10.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FAQ

Q1: 전기차 보조금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A: 각 지역별로 정해진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일반적으로 연말까지 진행되지만, 조기에 예산이 소진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구매를 고려 중이라면 최대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전기차 보조금을 받은 후 차량을 판매해도 되나요? A: 대부분의 지역에서 의무운행기간(일반적으로 2년, 일부 지역 8년)을 두고 있습니다. 이 기간 내에 차량을 판매하면 보조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기간과 조건은 해당 지역의 공고문을 확인해야 합니다.
Q3: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가면 보조금을 반환해야 하나요? A: 일반적으로 의무운행기간 내에 타 시도로 이전하는 경우, 보조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반환해야 합니다. 단, 같은 광역시도 내에서의 이전은 대부분 허용됩니다.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지자체에 문의해야 합니다.
Q4: 법인도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대부분의 지역에서 법인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보통 법인당 1대로 제한되며, 택시 법인 등 일부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역의 공고문을 확인해야 합니다.
Q5: 전기차 보조금은 어떤 순서로 지급되나요? A: 대부분의 지역에서 '출고·등록순'으로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즉, 보조금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후 실제로 차량을 출고하고 등록한 순서대로 지급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접수순'이나 '추첨' 방식을 채택하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2024년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이 정보들을 참고하여 본인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